우리민족기상의 상징 소나무

소나무에서 추출한 100% 솔잎증류농축액

더 파인 프리미엄

건강한 혈당을 위한 선택

소나무

우리민족을 대표하는 소나무

소나무는 우리 민족과 함께 해온 나무로서 애국가 “남산위에 저 소나무 철갑을 두른 듯, 바람서리 불변함은 우리 기상일세~”에도 나타나듯이 장수와 지조의 상징이며 희망의 상징이다.

소나무의 잎과 꽃가루,껍질,뿌리,목재,복령등 거의 모두가 한약재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松柏志操

365일 사계절 동안 푸른빛을 유지하는 소나무

십장생중의 하나인 소나무 “건강한 삶 ,장수의 상징인 소나무”

소나무는 80년 ~ 100년 이상까지 살기 때문에 장수하는 식물로 알려져 있다.

十長生

자연을 지키는 소나무,
건강한 삶을 지키는 소나무

더파인프리미엄은

당신의 건강한 혈당 유지에 도움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입니다.

  • 솔잎증류농축액 개별인정원료

  • 식약처 기능성인정
    건강기능식품(솔잎증류농축액제품/건강한 혈당유지)

  • 식약처1일섭취량100%함유

  • 순도100% 솔잎증류농축액

  • 기능성원료인 솔잎증류농축액 인체시험결과

  • 섭취가 간편한 식물성캡슐 개별포장

더 파인 프리미엄

가족과 나의 건강을 책임집니다.

  • 식후 혈당 상승이 걱정 되시는 분

  • 건강한 혈당 유지하기를 원하시는 분

  • 높은 혈당때문에 고민이신 분

  • 공복혈당상승이 걱정인 분

  • 가족의 혈당 관리가 필요하신 분

  • 혈당때문에 음식을 가려 드시는 분

  • 공복 및 평소 당수치가 높아 혈당유지가 필요하신 분

건강한 삶을 힘들게 하고
개별 질병부담율이 높은
혈액문제!

“더파인프리미엄”은
“건강한 혈당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출처 :2002년 한국인삶을 힘들게 하는 개별 질병 부담1위 당뇨병! 대한의사협회지,손상을 제외한 개별질병부담순위(2010.10.12)

믿을 수 있는 안전검증

생산지 점검부터 출고까지 철저한 관리

  • Step.01

    솔잎 채취

  • Step.02

    세척

  • Step.03

    건조

  • Step.04

    수증기 증류

  • Step.05

    솔잎증류농축액 추출

  • Step.06

    불순물 여과

  • Step.07

    저장 및 숙성

  • Step.08

    포장 및 출고

2021년 당뇨병 연간 총 진료비3조2344억출처 : 국민건강보험

“더파인프리미엄은 기능성분 “Terpinolene (테르피놀렌), 3-Carene (3-카렌), Limonene (리모넨)”함유되어 있으며

“건강한 혈당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소나무(솔잎)은 우리조상들로부터 오랫동안

건강을 위한 식재료로 사용되어 왔습니다.

출처 :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학 고전DB
의종손익(1/1)
  • 저편자 :황도연 (黃度淵)
  • 간행시기 :1868
  • 번역자 :양휘웅
  • 판사항 :목판본
  • 형태서지 :12(6)
제목(1)

醫宗損益 卷之一. 子集 > 身形 > 論身形服松葉法

솔잎을 복용하는 방법

본문(1)

醫宗損益 卷之一. 子集 > 身形 > 論身形 > 服松葉法俗方 久服, 輕身不老. 取葉細切, 更硏, 酒下三錢, 或粥飮和服, 或以炒黑大豆, 同搗作末, 溫水調服, 更佳. ○服松脂法, 得效取松脂七斤, 以桑灰汁一石, 煮三沸, 接置冷水中, 凝復煮之, 凡十遍, 色白矣. 取煉脂搗下篩, 以醇酒和白蜜如餳, 日服一兩.《寶鑑》 ○近有王愛州, 在鄴學服松脂, 不得節度, 腸塞而死. 夫養生者先須慮禍, 全身保性, 有此生然後養之, 勿徒養其無生也.《顔氏家訓》 ○增按《本草》中金石之劑, 非無一時中病, 而至若輕身不老之說, 何可盡信. 松脂之澁, 猶爲前人所戒, 又況丹砂硫黃鍾乳等, 燥血之劑乎. 爲害不尠, 尤當審愼. 而如不得已用之, 必也中病卽止而已矣.

오래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는다. 솔잎을 따서 잘게 썬 다음 다시 갈아 술에 3돈씩 복용한다. 미음과 함께 복용해도 좋다. 검게 볶은 콩을 함께 찧어서 가루를 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양무신편
  • 저편자 :남재철 (南載喆)
  • 간행시기 :1928
  • 번역자 :안상우, 박상영, 차웅석, 황재운, 강연석
  • 판사항 :연활자본
  • 언어 :한문
  • 형태서지 :3卷1冊 ; 24.6×16.9 cm
  • 발행처 :태화당인쇄소(泰和堂印刷所)

원저는 1928년 남재철(南載喆)이 지은 한의방서로 한국한의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번역에 사용된 원문은 한의학 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http:// jisik.kiom.re.kr/)에서 제공하는 텍스트를 표점·교감하여 정문(正文)으로 삼았다. 이 책은 1931년에 강원도 울진에서 신활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전체 7부(部) 97문(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 의하면 저자는 7년간 전국 유람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보니 큰아들이 약관의 나이에 막 병사했다는 소식을 접하고서 몇 달을 자리에 누워서 지낸 끝에 병석에서 일어나자마자 이 책을 저술하였다고 한다. 책이름은 북창(北窓) 정렴(鄭𥖝)이 지은 시(詩)에“이승에는 비명횡사한 사람들이 없고 저승에는 원한 있는 귀신이 없다(世間無橫死 地下無寃鬼)”의 의미를 취한 것이다. 본문에서 증상에 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한 채 간단한 약물치료를 위주로 기술하였다

卷之上 > 通治部 > 諸風門中風口喎, 靑松一斤, 擣汁, 淸酒一升浸一宿, 近火一宿. 初服半升, 漸至一升, 汗出卽愈.

중풍으로 구안와사가 되었을 때에는 푸른 솔잎 1근을 찧어 청주(淸酒) 1되에 하룻밤 담근 후 다시 불가에 하룻밤을 둔다. 처음에는 반 되를 복용하다가 점차 1되까지 복용하는데, 땀이 나면서 곧 낫는다.

卷之上 > 通治部 > 諸風門大風惡疾, 眉毛剝落, 百骸腐爛, 取長松葉一兩, 入甘草少許, 每水煎服. 旬日卽愈.

악질인 대풍창으로 눈썹이 떨어지고 모든 뼈가 썩어 문드러질 때에는 긴 솔잎[長松葉] 1냥에 감초 조금을 넣은 것을 매번 물에 달여 복용한다. 열흘이면 곧 낫는다.

의가비결(유의소변술)
  • 저편자 :김우선 (金宇善)
  • 간행시기 :1928
  • 번역자 :안상우, 이민호, 정창현, 장우창
  • 판사항 :목판본
  • 언어 :한문
  • 형태서지 :2권2책, 四周雙邊 半郭, 19.6×15.4cm, 有界, 10行22字, 註雙行, 上下向2葉, 花紋魚尾, 30.4cm×19.8cm.
  • 발행처 :김동진(金東縉) 발행, 양철석(楊喆錫) 인쇄

원저는 1928년 남재철(南載喆)이 지은 한의방서로 한국한의학연구원에 소장되어 있다. 번역에 사용된 원문은 한의학 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http:// jisik.kiom.re.kr/)에서 제공하는 텍스트를 표점·교감하여 정문(正文)으로 삼았다. 이 책은 1931년에 강원도 울진에서 신활자본으로 간행되었으며, 전체 7부(部) 97문(門)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문에 의하면 저자는 7년간 전국 유람을 마치고 집에 돌아와보니 큰아들이 약관의 나이에 막 병사했다는 소식을 접하고서 몇 달을 자리에 누워서 지낸 끝에 병석에서 일어나자마자 이 책을 저술하였다고 한다. 책이름은 북창(北窓) 정렴(鄭𥖝)이 지은 시(詩)에“이승에는 비명횡사한 사람들이 없고 저승에는 원한 있는 귀신이 없다(世間無橫死 地下無寃鬼)”의 의미를 취한 것이다. 본문에서 증상에 관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한 채 간단한 약물치료를 위주로 기술하였다

본문(3)

醫家秘訣 卷之上 > 延年方輕身不老, 取松葉, 細切更硏, 酒下三錢, 或粥飮和服. 或以炒黑大豆同搗作末, 溫水調服, 更佳.

몸이 가벼워지고 늙지 않게 하려면 솔잎을 잘게 썰고 또 갈아 3돈씩 술로 먹거나 미음에 타서 먹는다. 혹은 볶은 검정콩과 함께 찧어 가루 내어 따뜻한 물에 타서 먹으면 더욱 좋다.

驗方新篇 卷之一 > 附錄 > 風門中風諸症, 濕之所祟也. 生松葉, 細切, 和水, 常服.

중풍의 제반 증상이 습(濕)이 원인인 경우:싱싱한 솔잎을 가늘게 썰어 물에 타서 항시 먹는다.

驗方新篇 卷之一 > 附錄 > 消渴門消渴, 取生松葉 黃柏, 水煎, 置涼處飮之. 又人乳 牛乳, 好. 又赤豆 菉豆 黑豆 靑豆 黃豆 各一合, 烏梅 五箇, 煎服.

소갈(消渴)에는 생 솔잎과 황백을 물에 달여, 서늘한 곳에 두어 식혀서 마신다. 또한 사람의 젖과 우유도 좋다. 또한 적두 녹두 흑두 청두 황두 각 1홉, 오매 5개를 달여 먹는다.

향약집성방(1/10)
  • 저편자 :유효통, 노중례, 박윤덕 등 (兪孝通, 盧重禮, 朴允德 등)
  • 간행시기 :1433
  • 번역자 :윤창열, 김용진, 임진석
  • 형태서지 :85(30)

《聖惠方》論 曰夫大風癩病者, 皆是惡風 及犯觸忌害之所爲也. 初得病時, 覺皮膚不仁, 或淫淫苦痒, 有似蟲行, 或癮疹赤黑, 此皆爲病之始起也, 便急治之. 斷米穀毒魚之類, 食胡麻松朮之輩, 最爲善也. 大病之生, 多從風起, 初染之時, 不將爲害, 風毒入於皮膚, 不能自覺, 或流通四肢, 或在五臟, 則令毛孔腠理, 壅塞不通, 因玆氣血乖離, 遂致皮膚頑痺. 初起狀 如錢大, 或如手掌, 漸漸引闊, 猶同朽木, 針刺不痛, 或在頭面, 或上胸頸, 習習奕奕, 狀若蟲行, 流移無常, 身體痛痒, 搔之成瘡. 久久則皮膚筋節壞散, 故名曰癩. 其間 變狀多端, 癩名非一, 今擧其數種, 米癩者, 初得眉睫不落, 面目痒如生瘡. 火癩者, 生瘡 如火燒瘡, 或斷人肢節, 經久則眉睫墮落. 金癩者, 初得眉落, 經久則蟲食於肺, 鼻柱崩倒. 土癩者, 身體生㾦㿔, 狀如鷄子, 或如彈丸, 漸爛出於膿水. 水癩者, 先得水病, 毒氣留停, 冒風發動, 眉鬢皆落. 又有蟋蟀癩者, 有蟲如蟋蟀在人體之內, 百節頭, 皆有血出. 麵癩者, 其蟲如麵, 擧體如艾色白, 難治, 熏藥可愈. 雨癩者, 斑駁 或白或赤, 眉鬢墮落. 麻癩者, 狀如癬瘙, 身體狂痒. 虳癩者, 得之身體沈重, 狀如風癩. 酒癩者, 飮酒醉臥黍穰上, 汗出體虛, 風從外入, 落人眉鬢. 凡諸癩, 皆須速治之, 若多年 則不可治也.

《성혜방》에서 다음과 같이 논하였다. 대풍나병은 모두 악풍 및 삼갈 것과 해로운 것을 범하고 접촉해서 생긴 것이다. 처음 병이 생길 때 피부에 감각이 없어지고 혹은 벌레가 기어가는 것처럼 스멀스멀하여 몹시 가렵고 혹은 검붉은 두드러기가 생기니 이것은 모두 병이 생길 때 나타나는 증상이니 급히 치료해야 하니 쌀, 독 있는 물고기의 종류는 먹지 말고 들깨, 솔잎, 창출 등을 먹는 것이 좋다.

의본
  • 저편자 :미상 (未詳)
  • 간행시기 :미상
  • 번역자 :안상우, 이상원, 이덕호, 박은아
  • 판사항 :필사본
  • 언어 :한문
  • 형태서지 :1冊 82張 26.4×16.7cm

이 책의 원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저술시기는 대략 1800년대 이후로 보여진다. 번역에 사용된 원문은 한의학 지식정보자원 웹서비스(http://jisik.kiom.re.kr/)에서 제공하는 텍스트를 표점·교감하여 정문(正文)으로 삼았다. 필사본 1책으로 된 이 책은 󰡔동의보감(東醫寶鑑)과 제중신편(濟衆新編)을 토대로 간략하고 실용적인 내용을 가려 뽑아 민간에서 읽기 쉽게 만든 실용의학서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수록 처방과 내용은 동의보감 이후 새로운 임상기법을 보충한 색다른 것이 많이 들어 있다.

醫本 > 雜方拾遺 > 救荒 > 松葉松葉安五臟, 不飢. 其實與枝根皮, 皆辟穀, 惟葉最能絶粒. 然必和以楡皮汁, 可無大便祕澁之患.

솔잎은 오장을 편안케 하며 배고픔을 없앤다. 그 열매와 가지ㆍ뿌리껍질은 모두 벽곡식물(辟穀:곡식을 먹지 않고 여러 식물로 대신함)이지만 잎이 곡식쌀을 끊는데 가장 우수하다. 그러나 반드시 유피즙(楡皮汁)을 섞어야 변비(便秘)를 방지할 수 있다.

증보단방신편(0/3)
  • 저편자 :지송욱 (池松旭)
  • 간행시기 :1913
  • 번역자 :박상영 번역 / 오준호 교열
  • 형태서지 :단권

본서는 우리나라에서 의료정보의 파급이 어디에까지 미치게 되었는가를 알게 하는 주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조선후기에 접어들면서 의료환경이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으나, 온갖 고급 약재가 들어가는 처방은 일반인들이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때문에 조선후기가 되면서 처방은 더욱 간결해지고 약재는 수급이 더욱 용이한 것으로 처방이 변모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에 따라 실생활에 의학이 면밀히 파급되는 계기가 된 것이다. 본서는 이러한 면에서 대중에게 얼마나 의학 파급이 되었는지를 알게 하는 서적이다. 우선 연활자로 서적을 찍어 일반에 상업출판을 하였으며, 처방들이 간결할 뿐 아니라 쉽게 수급되는 재료라는 것이 그 표징이라 할 만하다. 특히 간단하게 실리긴 하였으나 육축에 대한 처방을 곁들인 것은 일반 의원 단위에서 이 서적을 활용하기보다는 가정에 상비할 수 있는 서적을 목적으로 한 것이라고 여겨지는 것이다. 애초 연활자본의 언해는 이러한 정황을 반영해주는 것이다. 본서는 이러한 목적으로 연활자로 출간된 서적을 다시 필사하여 묶은 것으로, 일제 강점기 우리 의학정보의 파급이 어디에까지 미치게 되었나를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라 할 수 있다.

본문(3)

增補單方新編 > 風門 > 中風凡風症濕之所祟也. 細切松葉, 一匙和水常服.

중풍에 솔잎을 가늘개 썰어 물에 타 항상 먹으라.
풍증은 습(濕) 때문에 생기는 것이다. 솔잎을 촘촘히 썰어 1술을 물에 타서 늘 먹는다.

  • 2019년기준40대이상 2명중1명 당뇨전단계

    - 출처 : 국민건강통계,만40~64세47.4%,만65세이상51%
  • 65세이상 성인 절반(50.4%)당뇨전단계

    - 출처 : 2022한국인 당뇨병 팩트시트
  • 5년간(2015~2019년)20대 당뇨환자51.4%증가

    - 출처 : 국민건강보험공단 제출자료

더파인프리미엄은 혈당상승이 걱정되시는 분,
혈당건강을 유지하려는 분들을 위해 꼭 추천드립니다.

시간별 혈당변화 비교시험

기능성원료인 솔잎증류농축액의 인체적용시험결과
  • 솔잎증류농축액군과 대조군간의 인체적용시험결과
  • 인체시험기관 : 

    분당서울대병원

  • 시험대상 및 기간 : 

    혈당건강에 이상이 있는 자 및 일반인 57명을 대상으로 12주간 실시

솔잎증류농축액

  • 건강기능식품
    기능성 원료 인정서

  • 솔잎증류농축액100%(개별인정 제1012-30호) 인정서 : 식품의약안전처 인정서 (1/2)

  • 솔잎증류농축액100%(개별인정 제1012-30호) 인정서 : 식품의약안전처 인정서 (2/2)

더 파인 프리미엄

적송 솔잎 외엔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았습니다.
장기간 먹어도 인체에 이상이 없습니다.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품목제조신고한 제품

기능성과 안전성을 인정받은 개별인정 원료번호를 확인하세요!

2012-30호

제품정보

  • 제품명

    더 파인 프리미엄

  • 제품유형

    개별인정형 건강기능식품/솔잎증류농축액제품(개별인정 제2012-30호)

  • 내용량

    450mg × 30캡슐 × 3개입(40.5g)

  • 원료명 및 함량
    • 솔잎증류농축액(Terpinolene 18~26%, 3-Carene 12.5%~16.5%, Limonene 5~10%) 100%
    • - 캡슐기제 : 

      히드록시프로필전분분말, 글리세린, 카라기난

  • 내포장재질

    폴리염화비닐리덴(PVDC)+알루미늄호일(AL-FOIL)

  • 섭취량 및 섭취방법

    1일 3회, 1회 1캡슐(450mg)을 충분한 물과 함께 섭취하십시오

  • 보관방법

    고온다습한 곳이나 직사광선을 피하여 서늘한 곳에 보관하십시오

  • 섭취시 주의사항
    • ① 

      섭취량을 준수하며, 섭취시 캡슐이 기도에 걸릴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② 

      특정성분에 알레르기 체질이신 분은 섭취 전 제품의 성분을 확인 후 섭취하십시오

    • ③ 

      제품개봉 또는 섭취시 포장재에 의해 상처를 입을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④ 

      기관지 천식, 해소 기침이나 기도에 심한 염증이 있는 사람은 섭취에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 ⑤ 

      과량섭취시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질병치료나 약물투여 중인 분들은 섭취 전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

  • 건강기능식품전문 제조원

    코스맥스바이오㈜ 충청북도 제천시 바이오밸리3로 30

  • 연구개발

    파인생명공학 경기도 여주시 산북면 금품2로 175, 2동

  • 유통전문판매원

    ㈜파인네스트 대전광역시 서구 문정로 66, 6층(탄방동, 한빛빌딩)

  • 소비자상담실

    080-850-1225

  • 반품 및 교환

    구입처

    • ※ 

      이 제품은 알류(가금류), 우유, 메밀, 땅콩, 대두, 밀, 고등어, 게, 새우, 돼지고기, 복숭아, 토마토, 호두, 닭고기, 쇠고기, 오징어, 조개류(굴, 전복, 홍합포함), 잣을 사용한 제품과 같은 제조시설에서 제조하고 있습니다

    • ※ 

      본 제품은 공정거래위원회고시 소비자분쟁해결기준에 의거 교환 또는 보상 받을 수 있습니다

    • ※ 

      이상사례신고는 1577-2488

    • ※ 

      본 제품은 질병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한 의약품이 아니며,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 가공한 건강기능식품입니다

영양·기능정보

[솔잎증류농축액]건강한 혈당의 유지에 도움을 줄 수 있음

1회 분량 : 1캡슐(450mg)※ %영양성분기준치 : 1일 영양성분기준치에 대한 비율
1회 분량 당 함량 %영양성분기준치
열량 0 Kal
탄수화물 0 g 0%
단백질 0 g 0%
지방 0 g 0%
나트륨 0 mg 0%
기능성분 또는 지표성분
Terpinolene 87 mg
3-Carene 69 mg
Limonene 30 mg

제조사·개발사 인증

  • GMP적용업소 지정서

  • HELAL CERTIFICATE

  • ISO9001인증서

  • HACCP적용업소 인증서

제조사·개발사 특허

  • 특허 제10-2027699호

    차즈기잎 추출물로부터 분리한 luteolin-7-O-diglucuronide,apigenin-7-O-diglucuronid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피로 개선용 약학 조성물

  • 특허 제10-2189415호

    대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손상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조성물

  • 특허 제10-2444911호

    산나물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근육관련 질환예방 또는 치료,근기능개선 또는 운동수행능력 개선용 조성물

  • 특허 제10-2161387호

    루테인 포함 피부건강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건강기능식품

  • 특허 제10-2189416호

    금불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예방 및 체지방 감소용 조성물

  • 특허 제10-2362960호

    캐비아 효소처리 분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피부개선용 기능성 조성물

  • 특허 제10-2133837호

    슬러리 연질캡슐 제제용 현탁화제 및 이를 포함하는 술러리 연질캡슐

  • 특허 제10-1211067호

    가르시니아캄보지아껍질추출물을 함유하는 안정한 다이어트용 젤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특허 제10-1436784호

    쓴맛의 감소 및 섭취편이성을 개선한 홍삼 스틱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특허 제10-1440100호

    아스코르빌 팔미테이트와 아스코르빌 스테아레이트의 정제용 활택제 용도

  • 특허 제10-1445334호

    화학적 금속염을 포함하지 않는 식물성 연질캡슐 조성물

  • 특허 제10-1607459호

    장용성 연질캡슐용 피막매스 조성물

TOP

무료상담문의

[약관보기]